제1장 서론 / 1
1.1 연구배경과 목적 / 1
1.2 연구내용과 범위 / 4
1.3 연구방법과 구성 / 6
제2장 재난위험 발생특성 분석 이론 / 9
2.1 재난발생의 불확실성과 위험도 평가 / 9
2.1.1 하인리히의 법칙과 위기관리 이론 / 9
2.1.2 하인리히의 법칙과 확률론적 재난발생 특성 / 9
2.2 리스크 곡선과 확률분포 곡선의 정규화 / 16
2.2.1 확률, 통계적 평가기법 / 16
2.2.2 리스크 곡선 / 17
2.2.3 현실에서 관찰되는 재난리스크 곡선 / 20
2.2.4 리스크 곡선의 정규화 / 21
2.3 재난위험 지표와 재난위험도 평가 / 27
2.3.1 재난위험 모니터링용 지표 해설 / 27
2.3.2 재난위험도 평가 함수 / 29
2.4 소결 / 32
제3장 국내 인적재난 발생현황 및 재난위험 분석 방안 / 33
3.1 최근 40년간 인적재난 발생현황 분석 / 33
3.2 최근 10년간 인적재난 발생현황 분석 / 39
3.3 최근 10년간 화재발생 및 피해현황 상세분석 / 45
3.4 인적재난 위험도 평가를 위한 적용 방안 / 51
3.4.1 우리나라 인적재난정보 자료처리 기준 / 51
3.4.2 자료현황 및 분석대상 재난유형 선정 / 52
3.4.3 운영 가능한 재난위험 지표 제안 / 55
3.4.4 재난위험 산정 함수 및 재난위험도 평가식 개발 / 59
3.5 확률, 통계적 평가 및 예측을 위함 사전 검토 / 67
3.5.1 재난정보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조건 / 67
3.5.2 확률, 통계적 처리기법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조건 / 67
3.5.3 전국 재난위험관리에서의 활용성 확보를 위한 조건 / 68
3.5.4 정량적 재난위험 분석 기법의 적용성 및 신뢰성 검토 / 69
3.6 소결 / 71
제4장 국내 인적재난에 대한 정량적 위험도 분석기법의 적용 / 73
4.1 최근 10년간 유형별 인적재난 위험도 분석에의 적용 / 74
4.1.1 인적재난 유형별 리스크 곡선 분석 / 74
4.1.2 인적재난 유형별 위험도 분석 / 80
4.2 최근 10년간 지역별 화재위험도 분석에의 적용 / 84
4.2.1 지역재난 위험 산출 지역 분류 / 84
4.2.2 지역별 화재위험도 분석 / 86
4.3 관찰주기별 화재위험도 분석에의 적용 / 91
4.3.1 10년 주기 화재위험도 분석 / 91
4.3.2 5년 주기 화재위험도 분석 / 97
4.3.3 최근 40년간 화재피해 현황과 화재위험도 평가결과의 비교분석 / 104
4.4 재난발생 특성 추정의 신뢰한계와 개선점 / 107
4.4.1 분석 결과 및 적용 한계 검토 / 107
4.4.2 신뢰도 향상을 위해 개선할 점 / 108
4.5 소결 / 110
제5장 요약 및 결론 / 113
5.1 요약 / 113
5.2 결론 / 115
5.3 향후 추진계획 / 118
5.3.1 대형재난 위험발생 특성예측 최적 모델 마련 / 120
5.3.2 재난위험 자동분석 및 의사결정 지원 프로그램 개발 / 121
5.3.3 재난위험정보 검증 및 D/B 구축 방안 검토 / 122
참고문헌 / 123
[부록1] 하인리히 법칙 뒷받침 사례 소개 / 125
[부록2] 롱 테일 함수와 패래토 법칙 /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