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차례 Ⅴ
표 차례 Ⅶ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 2
1.3 연구의 방법 / 3
1.4 연구의 흐름 / 4
제2장 기후변화 관련 국내.외 동향 / 7
2.1 국외의 관련조직 및 업무 / 7
2.1.1 기후변화협약 / 7
2.1.2 기후관련 정부간 기구 / 11
2.1.3 세계기상기구 / 16
2.2 국내의 관련조직 및 업무 / 17
2.2.1 기후변화협약 대책 위원회 / 17
2.2.2 소방방재청 / 24
2.2.3 환경부 / 26
2.2.4 기상청 / 28
2.2.5 교육과학기술부 / 29
2.2.6 국토해양부 / 30
2.3 국가별 기후변화 대응 사례 / 33
2.3.1 영국 / 33
2.3.2 벨기에 / 37
2.3.3 스위스 / 40
2.3.4 네덜란드 / 41
2.3.5 이탈리아 / 43
2.3.6 일본 / 45
2.3.7 말레이시아 / 48
2.4 소결 / 49
제3장 재난관리 시설물의 취약성 분석 / 51
3.1 시설물의 피해액 / 51
3.2 시설물별 피해상황 및 대책 / 56
3.2.1 하천.소하천시설물 / 60
3.2.2 도로시설물 / 65
3.2.3 수리시설물 / 68
3.2.4 농경지시설물 / 69
3.2.5 사방시설물 / 70
3.2.6 군시설물 / 71
3.2.7 비구조시설물 / 71
3.2.8 기타 시설물 / 73
3.3 소결 / 75
제4장 피해대책에 따른 종합계획의 작성 / 77
4.1 피해대책에 대한 연구방향 / 78
4.2 주요업무 분야의 제시 / 87
4.2.1 우수유출저감시설 분야 / 89
4.2.2 사전재해영향성 검토협의제도 분야 / 91
4.2.3 자연재해위험지구 관리 강화 / 92
4.2.4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분야 / 94
4.2.5 시섬루의 수방기준 제정.운영 분야 / 96
4.2.6 지하공간의 수방기준 제정.운영 분야 / 98
4.2.7 내풍설계기준 설정 분야 / 99
4.2.8 풍수해 보험 분야 / 101
4.3 분야별 종합계획의 제시 / 103
4.3.1 관련 연구분야의 업무별 구분 / 103
4.3.2 분야별 종합계획의 제시 / 107
4.3.3 종합계획의 제시 / 119
4.4 소결 / 122
제5장 요약 및 결론 / 123
5.1 요약 / 123
5.2 결론 / 126
참고문헌 / 129
부록 / 133
부록 1 : 소방방재청 R&D 추진현황(방재) / 135
부록 2 : 관련 연구단 개발과제 현황 /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