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례
그림차례 v
표 차 례 x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보고서 구성 / 2
제2장 2007년 국내 사면붕괴 재난 현황 / 3
2.1 우리나라 사면붕괴관련 재난 현황 / 3
2.2 현장조사 / 4
2.2.1 전남 보성군 / 5
2.2.2 전남 고흥군 / 7
2.2.3 전남 완도군 / 9
2.2.4 전남 장흥군 / 11
2.2.5 경북 울릉군 / 13
2.2.6 중점개선 사항 / 16
제3장 국외 방재활동 최근 동향 / 19
3.1 국제 급경사지 붕괴 컨소시움(ICL) 참가(일본, 동경 UN대학교) / 19
3.1.1 ICL 참가 목적 / 19
3.1.2 ICL과 MOU 체결 / 20
3.2 일본 방재연구기관 방문 / 21
3.2.1 방재과학기술연구소(NIED) / 21
3.2.2 국토기술정책종합연구소(NILIM) / 28
3.3 예.경보시스템 운용국 방문(베트남, 대만) / 30
3.4 삼협댐 급경사지 붕괴 위험지역 현장 방문(중국) / 33
3.4.1 삼협댐 본체 원거리 답사 / 34
3.4.2 Lianziya 협곡 암반조사 / 35
3.4.3 Qianjiangping 급경사지 붕괴 현장 조사 / 36
3.4.4 Shuping 급경사지 붕괴 현장 조사 / 37
3.4.5 Shennong Stream 급경사지 붕괴 현장 조사 / 39
3.4.6 Wushan 지역 실시간 산사태 모니터링 현장조사 / 39
3.4.7 Yuhuangge 급경사지 붕괴 S4 현장 사무소 / 40
3.4.8 중앙 Data 통제 센터 방문 / 41
3.5 급경사지 계측시스템 현장 조사(인도네시아) / 41
3.5.1 칠리닌 급경사지 붕괴 발생지역 현장조사 / 41
3.5.2 반자르나가라지역 현장조사 / 44
3.5.3 메리피화산지역 현장조사 / 47
제4장 급경사지 붕괴의 발생과 영향 / 49
4.1 급경사지 붕괴 개요 / 51
4.1.1 사면운동 과정 / 52
4.1.2 급경사지 붕괴의 종류 / 54
4.1.3 경사면에 미치는 힘 / 58
4.1.4 눈사태 / 65
4.2 미국의 급경사지 붕괴 위험 지역 / 67
4.3 급경사지 붕괴의 영향과 기타 재해와의 연관성 / 68
4.3.1 급경사지 붕괴의 영향 / 68
4.3.2 기타 재해와의연관성 / 73
4.4 급경사지 붕괴의 순기능 / 74
4.5 급경사지 붕괴와 인간의 상호작용 / 75
4.5.1 벌목과 급경사지 붕괴 / 75
4.5.2 도시화와 급경사지 붕괴 / 76
4.6 급경사지 붕괴 위험의 최소화 / 78
4.6.1 급경사지 붕괴 위험지역의 파악 / 78
4.6.2 급경사지 붕괴 방지 . 81
4.6.3 급경사지 붕괴 경보 시스템 / 86
4.7 급경사지 붕괴 위험에 대한 인식과 조정 / 86
4.7.1 급경사지 붕괴 위험에 대한 인식 / 86
4.7.2 급경사지 붕괴 위험에 대한 조정 / 87
제5장 급경사지 계측을 위한 기술조사 / 89
5.1 계측업의 제도화 필요성에 대한 분석 / 89
5.1.1 급경사지 계측현황과 문제점 / 89
5.1.2 효과적인 계측관리를 위한 방안 / 91
5.2 상시계측관리시스템 현황 / 100
5.2.1 상시계측관리시스템의 필요성 / 100
5.2.2 국내.외 상시계측관리시스템 사례 / 101
5.3 급경사지 계측 기술개발 현황 / 114
5.3.1 우리나라 / 114
5.3.2 일본 / 115
5.3.3 홍콩 / 117
5.3.4 미국 / 117
제6장 지침 C를 이용한 강릉지역 대피표준선 설정 / 119
6.1 지침 C 소개 / 119
6.1.1 유발강우 및 비유발강우 데이터의 집접 / 121
6.1.2 작용강우 산정 / 123
6.2 강릉지역 강우자료의 수집 및 분석 / 126
6.2.1 강릉관측소 강우자료 수집 / 127
6.2.2 작용강우량 산정 / 140
6.2.3 유발 및 비유발강우 도시 / 142
6.2.4 한계선(CL), 경보선(WL), 대피선(EL) 설정 / 142
6.2.5 사행선(SL) 도시 / 144
6.2.6 표준강우량 설정 검토 / 145
6.3 강릉 5개 지역 한계선 설정 / 147
6.3.1 삽당령 대피.경보선 설정 / 148
6.3.2 주문진 대피.경보선 설정 / 151
6.3.3 경포대 대피.경보선 설정 / 153
6.3.4 소금강 대피.표준선 설정 / 155
6.3.5 옥계 대피.표준선 설정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