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연구목적 및 개요 / 1
1.1 연구 배경 / 1
1.2 연구 목적 / 3
1.3 연구의 추진절차 / 6
1.4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8
제 2 장 인적재난 위험도평가에 관한 기초적 검토 / 9
2.1 인적재난과 관련한 환경변화고찰 / 9
2.2 우리나라의 인적재난 분류 및 발생 현황 / 16
2.3 인적재난 안전도 평가를 위한 관련법규 현황 / 27
2.4 인적재난 위험도평가 기본개념에 대한 검토 / 29
2.5 결론 및 시사점 / 37
제 3 장 인적재난 위험도평가에 관한 국내.외 현황조사 및 기법검토 / 39
3.1 인적재난에 대한 위험도와 관련한 국내동향 / 39
3.2 인적재난 위험도의 국외동향 파악 / 46
3.3 지역 안전도 평가를 위한 기법고찰 / 58
3.4 인적재난 위험도 평가를 위한 GIS의 활용가능성 검토 / 68
3.5 결론 및 시사점 / 76
제 4 장 인적재난 위험도 평가방법 및 DB 구축방안 검토 / 79
4.1 개요 / 79
4.2 인적재난 위험도 평가시 검토사항 / 79
4.3 화재.폭발.위험물관련 사고유형별 위험도 평가범위의 설정 / 84
4.4 평가방향 및 평가 내용수준의 결정 / 85
4.5 우리나라 화재.폭발.위험물 관련 DB구축 방안 / 90
4.6 인적위험도 평가에 따른 DB구축을 위한 검토 / 104
4.7 결론 / 185
제 5 장 위험도평가방법 도출 및 정량화 방안 / 187
5.1 개요 / 187
5.2 화재.폭발.위험물관련 사고유형별 위험도 평가요인 도출 / 188
5.3 평가 요인에 대한 분석 및 검증 / 204
5.4 화재.폭발에 대한 위험도 평가방법개발 / 207
5.5 평가방법 개발 및 정량화에 따른 결론 / 309
제 6 장 인적재난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방법 개발 / 311
6.1 개요 / 311
6.2 하재.폭발.위험물관련사고의 유형별 피해경감능력평가 방안 / 312
6.3 지역별 화재. 폭발. 위험물관련사고 위험도평가 방법 / 315
6.4 지역별 피해경감능력 종합평가 방법 / 316
6.5 인적재난에 대한 지역위험도 평가시스템 구축 / 316
6.6 시범지역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 실시 / 370
6.7 평가결과의 분석 및 지역별 적용방안 / 408
제 7 장 결론 및 정책 건의 / 413
7.1 개요 / 413
7.2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방향 / 413
7.3 연구결과 및 정책건의 / 415
참고문헌 /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