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례
그림차례 / Ⅴ
표 차 례 / Ⅸ
제 1 장 과업배경 및 목적 / 1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1
1.2 여구개발의 중요성 / 1
1.2.1 기술적 측면 / 3
1.2.2 경제, 산업적 측면 / 4
1.3 연구제안 목적 / 6
제 2 장 사면재해 피해조사 첨단화 검토 / 7
2.1 국내.외 사면재해 발생지역 첨단 피해조사 사례 검토 / 8
2.1.1 사면 재해 첨단 피해조사 사례검토 / 8
2.1.2 첨단 사면재해 피해조사의 시사점 및 기대효과 / 46
2.2 사면재해 현장자료 조사기법 검토 및 제시 / 48
2.2.1 현장자료 수집범위 설정 및 수집기법 조사 / 48
2.2.2 현장조사에 요구되는 자료항목 및 확보방안 검토와 제시 / 62
2.2.3 현장 조사자료 저장 및 실시간 전송 필요성 검토 / 66
2.3 수집자료 검증 및 전산화기법 연구 / 70
2.3.1 수집자료의 적정성 검토 및 평가방안 제시 / 70
2.3.2 수집 자료의 표준화 방안 제시 / 71
2.3.3 피해조사 자동화를 위한 전산화 기법 제안 / 73
제 3 장 사면재해 위험지역의 지정에 관한 적정성 조사 / 77
3.1 급경사지 관리 제도화의 타당성분석 / 78
3.1.1 국내.외 급경사지 관리제도 분석 / 78
3.1.2 현행 급경사지 관리제도의 문제점과 새로운 제도 마련의 필요성 / 98
3.2 급경사지 정의 및 적용범위 검토 / 104
3.2.1 급경사지 정의에 대한 검토 / 104
3.2.2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의 지정에 대한 검토 / 109
3.2.3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지정 및 관리에 대한 적정성 및 시사점 / 186
제 4 장 사면재해 위험지역의 유지관리 방안 검토 / 191
4.1 사면재해 위험지역 정비 및 시행계획 검토 / 192
4.1.1 효과적인 급경사지 안전관리를 위한 중기 정비계획 제시 / 192
4.1.2 중기 정비계획에 대한 시행계획 제시 / 199
4.2 사면재해 위험지역의 안전확보를 위한 공학적 사항 검토 / 207
4.2.1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점검기술 검토 / 207
4.2.2 급경사지 관측시스템의 장단점 제시 / 224
4.2.3 국내실정에 적합한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의 안전확보 방안마련 / 227
4.3 사면재해 위험지역내의 안정저해 해위에 대한 관리방안 검토 / 236
4.3.1 붕괴위험지역 표지판의 관리기준 및 운영방안 수립 / 236
4.3.2 안정저해 행위에 대한 처벌방안 검토 / 242
4.3.3 실무활용 가능한 관리시스템 제시 / 248
제 5 장 사면재해 위험지역의 계측을 위한 기술조사 / 257
5.1 계측업의 제도화 필요성에 관한 연구 / 257
5.1.1 현행 급경사지 계측실태와 문제점 분석 / 257
5.1.2 효과적인 계측관리를 위한 방안 제시 / 261
5.2 계측업의 등록과 운영사항 검토 / 282
5.2.1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관리목적 계측업의 적정성 검토 / 282
5.2.2 합리적인 계측대가 산정방안 마련 / 300
5.3 계측기기 성능검사 실시에 관한 검토 / 323
5.3.1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계측장비 등 인증제도 도입에 관한 검토 / 323
5.3.2 계측기별 성능검사항목 검토 / 327
5.3.3 계측기기 성능검사기관의 운영 및 관리방안 수립 / 342
5.4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의 상시 계측관리에 대한 기술 검토 / 362
5.4.1 국내실정에 적합한 계측관리시스템 검토 / 362
5.4.2 계측관리 규격화를 통한 전국적용이 가능한 모델 검토 / 390
5.5 계측업 종사자 교육 및 훈련기관의 지정에 관한 사항 / 423
5.5.1 교육의 필요성 및 교육방안 검토 / 423
5.5.2 훈련기관 지정의 적정성 및 대상기관 검토 / 428
제 6 장 사면재해 위험지역 관리를 위한 지짐 작성 / 433
6.1 급경사지의 안전관리를 위한 설계.시공 및 유지관리 지침작성 / 433
6.1.1 즉각적인 활용이 가능한 급경사지 안전관리 지침 제시 / 433
6.1.2 실무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설치 및 운용방안 검토 / 450
6.2 급경사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D/B 구축 / 463
6.2.1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의 D/B 구축 및 표준화 방안 검토 / 463
6.2.2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의 D/B 구축을 위한 자료수집 항목 / 466
6.2.3 사면 준공도서 작성대상 사업장의 범위 / 475
6.2.4 D/B를 이용한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관리방안 / 478
6.3 지반재해위험지도의 제작 및 활용지침 작성 / 483
6.3.1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관리를 위한 지반 재해위험지도 제작방안의 타당성 검토 / 483
6.3.2 D/B와 연계한 지반재해위험지도의 활용방안 제시 / 485
6.4 긴급상황 발생 시 안정성 확보를 위한 응급조치 및 주민대피를 위한 관리기준안 작성 / 490
6.4.1 긴급 상황 발생 시 응급조치 방안(붕괴우려 및 붕괴 시) / 490
6.4.2 경보발령 시스템 및 행동요령 / 497
6.4.3 주민대피방안 제시 / 515
6.4.4 예상되는 문제점 및 대안 검토 / 524
6.5 사면재해 자료관리, 웹기반 D/B, 실시간 관측 체계, 운영시스템 검토 등 사면재해 정보센터 기반 구축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