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편 우리나라 철도건설의 발자취
제2절 경의선 철도 연결공사(문산~군산 분계선간) / 655
1. 설계 / 655
2. 구조물공 / 661
3. 안전진단과보강설계 / 663
4. 복선화 노선 검토 / 664
5. 환경영향평가 / 668
6. 기본계획 수립 / 670
7. 노반공사 / 674
8. 궤도 부설 / 691
제3절 광양제철선 건설(광양~태금) / 693
1. 개요 및 건설의 의의 / 693
2. 실시설계 / 694
3. 사업시행 / 695
4. 영업개시 / 696
5. 설계 및 시공 / 696
6. 궤도부설 / 698
제4절 전라선 개량사업 / 700
1. 개요 및 건설의 의의 / 700
2.. 사업시행 / 702
제7장 경부고속철도의 건설
제1절 타당성 조사와 기술조사 방침 결정 / 731
1. 경부고속철도 건설에 대한 연구 기관의 건의 / 731
2. 타당성 조사 실시 / 733
3. 기술조사 시행방침 결정 / 734
제2절 기술조사 및 세부노선 확정까지의 준비과정 / 735
1. 경부고속전철 및 신공항 건설추진위원회 발족 / 735
2. 기술조사 실시 / 736
3. 사업계획 및 기본노선 확정 / 737
4. 설계기준 수립 및 실시 설계 추진 / 742
5. 환경 및 교통영향 평가 / 745
6. 문화재 조사 및 인.허가 취득 / 747
7.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발족 / 749
8. 세부노선 확정 및 노반시공업체 선정 / 750
제3절 노반착공 및 1차 사업계획 수정 / 752
1. 경부고속철도 착공 / 752
2. 사업관리 시스템 도입 / 752
3. 1차 사업계획 수정 / 754
4. 차량 형식 선정과 계약 체결 / 755
제4절 초기 건설과정의 각종 시련과 극복 / 758
1. 각종 민원 및 지역 이기주의 대두 / 758
2. 설계기준 및 교량형식 변경 / 760
3. 대전.대구역 통과구간 변경 / 763
4. 경주경유노선 변경 / 764
5. 상리터널구간 노선 변경 / 766
6. WJE 안전점검 실시 / 767
제5절 설계검증 및 시험선 운행 / 772
1. 설계 검증 및 보안 / 772
2. 시공 및 감리개선 / 774
3. 안정성 확보를 위한 고속철도 품질관리체계 구축 / 774
4. 2차 사업계획 수정 / 776
5. 사업관리체계 정착 / 777
6. 시험선 운행개시 / 779
제6절 1단계 사업의 완벽한 마무리와 안전대책 수립.시행 / 783
1. 1단계 건설사업 종료와 전구간 시험운행 종료 / 783
2. 1단계 개통에 대비한 안전대책 수립.시행 / 786
제7절 고속철도 개통.운영시스템 가동 / 791
1. 통합운영 조직 구성 / 791
2. 분야별 운영준비 추진 / 792
3. 개통준비 지원사항 / 794
4. 개통에 대비한 대국민 인식제고 방안 수립.시행 / 795
제8절 경부고속철도 서울~부산 1단계 개통 / 797
1. 경부고속철도 1단게 개통식 거행 / 797
2. 경부고속철도 개통의 의의와 파급효과 / 799
제9절 경부 고속철도 2단계 사업 및 호남고속철도 건설사업 / 802
1. 경부고속철도 제2단계 사업 / 802
2. 경부고속철도 제2단계 사업 추진 현황 / 804
3. 호남고속철도 전철화 사업 / 806
▣ 제2편 서울.지방 지하철의 건설
제1장 서울 지하철의 건설
제1절 서울 도시철도의 태동 / 810
1. 해방이전의 서울 도시철도의 태동 / 810
2. 해방이후 지하철 건설계획 / 814
제2절 제1기 지하철 건설 / 817
1. 지하철 건설체제의 확립과 1호선 건설추진 / 817
2. 지하철 1호선(종로선)과 수도권전철 착공, 개통 / 821
제3절 서울시의 다핵화와 순환지하철 건설 / 827
1. 지하철 2호선 건설 / 827
제4절 지하철 3.4호선 건설 / 838
1.건설배경 / 838
2. 노선건설계획 추이 / 838
3. 민자건설배경 및 추진 / 839
4. 설계 및 시공 / 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