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사면붕괴 감지 및 관측에 관한 연구(Ⅱ)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366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및 배경 / 1
1.2 보고서 구성 / 2

제2장 2005년 사면붕괴재난 현황 / 5
2.1 우리나라 사면붕괴 관련 재난현황 / 5
2.2 2005년도 사면붕괴 관련 재냔현황 / 6
2.3 현장조사 / 7
2.3.1~13 / 34
2.4 2005년 사면재난 발생원인 및 대책 / 36
제3장 국외 사면관리체계 현황 / 39
3.1 국외 사면관리체계 연구 목적 / 39
3.2 홍콩 지반방재국 / 39
3.2.1~8 / 73
3.3 국외 산사태 연구의 최신 동향 / 76

제4장 산사태와 지반 운동 / 105
4.1 산사태 운동을 결정하는 요인들 / 106
4.1.1~2 / 108
4.2 경사면 구성 재료 : 강도와 마찰 / 109
4.2.1~9 / 126
4.3 사면붕괴의 종류 / 127
4.3.1~4 / 158

제5장 강우특성에 따른 표준강우량 선정 / 163
5.1 사면붕괴의 원인과 강우 / 163
5.2 강우와 사면붕괴의 관계분석 / 164
5.3 지침 A를 이용한 경보 및 대피를 위한 표준강우량의 설정 / 171
5.3.1~6 / 181
5.4 지침 B를 이용한 경보 및 대피를 위한 표준강우량의 설정 / 182
5.4.1~3 / 185
5.5 위원회지침을 이용한 경보 및 대피를 위한 표준강우량의 설정 / 186
5.5.1~3 / 193
5.6 대피 및 경보발령을 위한 한계표준선 선정 과정 / 194
5.6.1~3 / 201
5.7 지침A를 이용한 표준강우량 선정 예 / 207

제6장 우리나라 사면관리 선진화방안 / 215
6.1 인공사면의 관리 / 215
6.2 자연사면의 관리 / 215
6.3 산사태 예,경보 기준의 정립 / 216
6.4 원격탐사를 이용한 재해 피해상황 파악 및 복구방안 수립 / 217
6.5 첨단장비를 이용한 사면재난 현지조사 / 217
6.5.1~3 / 227
6.6 매뉴얼, 기술지침의 마련 / 227
6.7 우리나라에서 도입을 고려해야 할 공법 사례
6.8 정책적 지원의 선진화 / 228

제7장 결론 / 229
7.1 결언 / 229
7.2 향후 연구 방향 / 232

참고문헌 / 233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