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서장
1.1 본서의 내용과 구성 / 2
1.2 암반사면의 붕괴실태 / 5
1.3 조사, 시험의 실태 / 12
1.4 안정평가, 해석의 실태 / 15
1.5 대책공의 실태 / 18
제 2 장 암반사면의 조사, 시험의 진행방법
2.1 암반사면의 조사, 시험의 흐름 / 22
2.2 조사, 시험계획의 착안점 / 28
2.3 암반사면의 조사, 시험법 / 39
2.4 최신의 조사, 시험법 / 45
제 3 장 조사와 시험결과의 정리와 평가
3.2 붕괴개소의 특정 / 68
3.2 붕괴형태와 붕괴규모 / 89
3.3 균열, 미끄러짐명에 관한 평가 / 106
3.4 암반강도의 평가 / 124
3.5 지하수에 관한 평가 / 139
3.6 풍화에 관한 평가 / 150
제 4 장 암반사면의 안정평가와 대책공의 사고방식
4.1 기본적인 사고방식 / 166
4.2 경험적 수법에 의한 안정성 평가 / 169
4.3 해석에 의한 안정성 평가 / 182
4.4 시공 중의 관찰, 계측에 의한 안정성 평가 / 196
4.5 관리단계의 점검, 감시로부터의 안정성 평가 / 206
제 5 장 대책공의 설계에 대한 사고방식
5.1 안정해석법 / 220
5.2 풍화,열화에 대한 사고방식 /228
5.3 지진시의 안정성 평가 / 242
5.4 지하수의 영향 평가 / 247
5.5 한랭지 인공사면에 대한 사고방식 / 256
5.6 정보화 시공 / 265
5.7 경관설계 / 268
5.8 장대인공사면대책과 인공사면축소화 대책 / 275
제 6 장 각종 대책공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
6.1 대책공의 종류 / 288
6.2 대책공의 선정 플로우의 개요 / 292
6.3 보호공 / 303
6.4 억지공 / 311
6.5 절토공, 표면 및 지하 배수공, 낙석 대책공 / 328
6.6 최근의 새로운 공법 / 335
제 7 장 암반사면의 조사, 설계, 시공사례
7.1 사례개요 / 350
7.2 댐 사이트 굴착 인공사면의 대책과 계측, 관리사례 / 351
7.3 도로직하의 수직굴착에 있어서의 해석과 계측사례 / 358
7.4 석회석 관산에 잇어서의 사전 대책사례 /370
7.5 자연환경을 고려한 게곤노다키의 붕괴대책사례 / 379
7.6 장대인공사면에 있어서의 키블록 해석을 이용한 대책사례 / 384
7.7 단층파쇄대 산사태에 있어서의 대책사례 / 391
7,8 변질대에 있어서의 변상의 조사와 대책사례 / 398
7.9 화력발전소 부지조성에 따른 정보화 시공사례 / 409
7.10 고속도로 공용 후의 변상대책사례 / 414
7.11 도요하마 터널갱구 암반붕괴 사고의 조사해석사례 / 419
제 8 장 금후의 과제
1. 조사 시험 / 430
2. 계측 / 431
3. 안정성 평가에 관한 과제 / 432
4. 대책공 / 433
5. 유지관리 / 434
찾아보기 /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