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 론 1
1.1 연구목적 1
1.2 연구대상 위치 1
1.3 연구범위 및 내용 2
1.3.1 연구범위 2
1.3.2 연구내용 2
1.4 연구 추진배경 3
1.5 연구기간 및 수행일정 3
1.5.1 연구기간 3
1.5.2 연구 수행일정 3
제2장 연구대상 현황 4
2.1 연약지반 비탈면 활동발생 위치 4
2.1.1 연약지반 고성토부 활동발생 위치 4
2.1.2 연약지반 고성토부 활동발생 현황 5
2.1.3 배수로 Heaving 발생현황 6
2.2 활동발생 가능구간 현황 7
2.2.1 개 요 7
2.2.2 다시교 교대 토공부 및 교대부(A1) 현황 7
제3장 기초자료 수집 및 분석 8
3.1 개 요 8
3.2 지반특성 조사 8
3.2.1 지반조사 현황 8
3.2.2 시추조사 결과 11
3.2.3 지하수위 측정결과 14
3.2.4 토질시험 성과 14
3.2.5 연약지반 특성 16
3.2.6 대상구간 지반정수 17
3.3 지형 및 기상조건 23
3.3.1 지형조건 23
3.3.2 기상조건 23
3.4 수위조사 26
3.4.1 배수로 수위조건 26
3.4.2 영산강 수위조건 27
3.5 공사 추진현황 조사 27
3.6 계측자료 조사 28
3.6.1 계측계획 28
3.6.2 계측결과 28
제4장 연약지반 고성토부 활동발생원인 분석 51
4.1 개 요 51
4.2 비탈면 붕괴원인 및 형태 52
4.2.1 비탈면 불안정 요인 52
4.2.2 비탈면 붕괴형태 52
4.3 비탈면 안정해석 방법 54
4.3.1 토사 비탈면 안정해석 방법 54
4.3.2 암반 비탈면 안정해석 방법 59
4.4 비탈면 안정성 검토기준 61
4.4.1 깎기 비탈면 안정성 검토기준 61
4.4.2 쌓기 비탈면 안정성 검토기준 62
4.5 연약지반 고성토부 활동 발생원인 분석 63
4.5.1 검토개요 63
4.5.2 검토조건 및 내용 63
4.5.3 당초 연약지반 고성토부 안정성에 대한 적정성 검토 64
4.5.4 현장 제반여건을 고려한 연약지반 비탈면 안정성 검토 66
4.5.5 강도감소법에 의한 안정성 검증 71
4.5.6 연약지반 비탈면 활동 발생원인 분석결과 72
제5장 활동발생 가능구간 안정성 검토 73
5.1 개 요 73
5.2 다시교 교대부(A1)측방유동 안정성 검토 73
5.2.1 검토개요 73
5.2.2 검토현황 74
5.2.3 검토기준 74
5.2.4 측방유동 안정성 검토 75
5.3 교대 토공부 비탈면 안정성 검토 80
5.3.1 검토개요 80
5.3.2 검토현황 80
5.3.3 교대 토공부 비탈면 안정성 검토결과 81
5.4 활동발생 가능구간 안정성 검토결과 82
5.4.1 다시교 교대부(A1)측방유동 안정성 검토결과 82
5.4.2 교대 토공부 비탈면 안정성 검토결과 82
제6장 보강대책방안 수립 및 대책 83
6.1 개 요 83
6.2 보강공법 종류 83
6.2.1 보강공법 선정시 고려사항 83
6.2.2 쌓기하중의 경감 84
6.2.3 억지말뚝공법(마이크로파일 공법) 84
6.2.4 모래다짐 및 쇄설말뚝공법 84
6.2.5 JSP공법(Jumbo Special Pile) 85
6.2.6 PET MAT공법(토목섬유) 86
6.2.7 압성토 공법 87
6.2.8 치환공법 87
6.3 보강대책공법 선정 88
6.3.1 연약지반 고성토부 보강대책방안(STA.6+760~7+160) 88
6.3.2 다시교 교대 토공부 보강대책방안(STA.7+160~7+220) 89
6.3.3 다시교 교대부(A1)측방유동 보강공법 선정 90
6.4 설계 및 시공시 유의사항 91
6.4.1 계측계획 및 시공관리 91
6.4.2 쌓기속도관리 95
6.4.3 영산강 수위 및 배수로 수위조건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