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사업 소개
1.1 사업목적 / 1
1.2 사업범위 / 1
1.3 민자구간 사업의 주요내용 / 2
1.4 민자구간 사업의 설계 및 시공절차 / 3
1.5 설계 테마 / 4
제2장 설계 현황
2.1 설계개요 / 5
2.2 설계특징 / 8
2.3 상부거더의 구성 / 13
2.4 사용 P.S 강재 / 15
2.5 설계 기본 사항 / 20
2.6 구조물 개요도 / 28
2.7 상부설계 / 31
2.8 전단키 설계 / 43
2.9 정착구 설계 / 44
2.10 방향변환블럭 설계 / 49
2.11 가설용 강봉 설계 / 50
2.12 매치캐스트 블록 설계 / 51
2.13 주두부 연결텐던 및 강봉 검토 / 52
2.14 내진설계 / 53
2.15 교량받침 설계 / 54
2.16 내구성 설계 / 55
제3장 시공계획 및 준비
3.1 F.C.M 가설공법 검토 / 57
3.2 가설공법 적용성 검토 / 63
3.3 제작공법 적용성 검토 / 64
3.4 제작장 조성 / 65
3.5 시공단계해석 적정성 검토 / 70
3.6 선보정 공법 검토 / 75
3.7 콘크리트 재료의 시간의존적 특성 검토 / 83
3.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이해 / 88
3.9 텐던 긴장방법 검토 / 94
3.10 기하형상 관리 계획 / 98
3.11 가설선형관리 계획 / 109
제4장 대블럭 제작
4.1 제작개요 / 117
4.2 공정현황 / 120
4.3 주요 가시설 및 투입장비 / 121
4.4 M.C.B 제작 / 126
4.5 대블럭 제작 / 132
4.6 품질관리 및 시공개선 / 153
제5장 소블럭 제작
5.1 제작 개요 / 157
5.2 소블럭 제작 공정표 / 161
5.3 투입 장비 및 인원 / 162
5.4 시공방법 / 165
5.5 세부 제작 공정 / 170
5.6 형상관리를 위한 측량 / 189
5.7 품질관리 및 시공개선 / 200
제6장 상부공 가설
6.1 개요 / 207
6.2 상부 가설 공정 / 210
6.3 주요 가시설 및 자재투입 현황 / 211
6.4 M.C.B 가설 / 225
6.5 대블럭 가설 / 237
6.6 데릭 크레인 설치 / 256
6.7 기준 세그먼트(Seg.2) 가설 / 265
6.8 Key Segment 가설 / 295
6.10 End Segment 가설 / 313
6.11 External Tendon 시공 / 333
6.12 진동 방지공 설치 / 341
6.13 내,외부 점검시설 설치 / 347
제7장 시공중 문제점 조치사례
7.1 Deviation Block의 문제점 및 개선사례 / 351
7.2 하부텐던 보강철근의 문제점 및 개선사례 / 355
7.3 Key segment 가설 전용장비 도입 / 358
7.4 그라우팅 관련 P.S 긴장재 부식방지 대책 / 362
7.5 하부텐던 덕트막힘에 따른 조치사례 / 366
7.6 캔틸레버 가설중 상부텐던 덕트막힘에 따른 조치사례 / 374
7.7 End segment 온도변화에 다른 단차영향 검토
제8장 하부공 시공
8.1 시공개요 / 383
8.2 PC HOUSE 가설
8.3 Pile Cap 시공 / 391
8.4 Pier 시공 / 400
8.5 Coping 시공 / 415
8.6 품질 및 시공개선 사례 / 424
공정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