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사업 소개
1.1 과업의 목적 / 1
1.2 과업의 범위 / 1
1.3 과업의 주요 내용 / 2
1.4 사업의 특징 / 3
1.5 설계검토 및 승인 절차 / 3
1.6 설계테마(Design Theme) / 4
제2장 설계 현황
2.1 인천대교 설계 현황 / 5
2.2 내구성 설계 / 8
2.3 콘크리트 설계현황 / 11
2.4 설계기본 사항 / 12
2.5 고가교(Viaduct Bridge) 상부구조 설계 일반 / 19
2.6 FSLM Girder 상세 설계 / 27
2.7 부분별 단면해석 / 34
2.8 고가교(Viaduct Bridge) 하부구조 설계 / 49
제3장 사전공정
3.1 FSLM 공법을 위한 사전공정 개요 / 59
3.2 제작상 조성공사 현황 / 59
3.3 Mould 조립현황 / 65
3.4 Girder Mock-up(Diaphragm) / 66
3.5 Girder 강선 시험 인장 / 68
3.6 Over Head Crane 설치 / 77
3.7 가설장비 조립 / 93
제4장 하부구조물 시공현황
4.1 PC House 제작 및 가설시공 / 97
4.2 Pile Cap 시공 / 118
4.3 Pier 시공 / 133
4.4 Coling 시공 / 148
4.5 Bearing 시공 / 162
제5장 고가교 제작가설 시공계획
5.1 FSLM 공법 현황 / 167
5.2 FSLM(Full Span Launching Method) Girder의 특징 / 169
5.3 FSLM Girder 제작상 현황분석 / 170
5.4 FSLM 제작 공정분석 / 173
5.5 제작상 내 주요가시설 및 투입장비/인원 / 174
5.6 FSLM 가설공법 현황
제6장 고가교 제작가설 시공현황
6.1 FSLM Girder 제작 및 가설 시공 Flow Chart / 191
6.2 제작장 세부 시공 현황 / 192
6.3 해양부 세부 시공 현황 / 217
제7장 변화구간 Girder 제작 및 가설
7.1 변화구간 Girder(CIP Girder)개요 / 223
7.2 CIP Girder 교량 상판 세부설계 / 226
7.3 변화구간 상세설계 / 227
7.4 콘크리트 타설 공정 / 237
7.5 변화구간(CIP Girder) 시공 Flow / 243
7.6 제작장 부지조성 공정 / 243
7.7 시스템 동바리 설계현황 / 245
7.8 철근조립 및 Inner Form Setting / 250
7.9 1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2차 타설준비) / 257
7.10 상판 철근조립 / 263
7.11 2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해체 작업 / 268
7.12 강선인장(Post Tension) / 271
7.13 그라우팅 작업 / 276
7.14 Form 해체 및 보수 / 279
7.15 야적장 인양 및 선적 작업 / 281
제8장 가설장비 이동 및 최종가설
8.1 가설장비 이동 시공방법 / 283
8.2 동측 종점부 최종가설 및 해체작업 / 300
제9장 FSLM Girder 연속화 및 TCB 해체
9.1 FSLM 연속화 공정 / 313
9.2 TCB(Temporary Concrete Block) 해체작업 / 335
제10장 Girder 균열제어 및 실패사례
10.1 Girder 균열 제어 / 339
10.2 실패사례 / 348
제11장 문제점 및 개선사례
11.1 제작장 개선사례 / 351
11.2 해상 가설부 개선사례 / 364
11.3 해상 기초부 개선사례 / 367
11.4 고가교 거더(G-E50-N) 보수, 보강사례 / 375
공정사진